현대인의 일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디지털 기기. 본 시리즈는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가 초래한 다양한 질환에서 '로그아웃'하고자 기획하였습니다. 디지털 기기에 사로잡힌 일상 속에서 건강을 지키는 알찬 정보를 전합니다.
현대인에게 스마트폰, 컴퓨터 등 각종 디지털 기기는 일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필수품이다. 그런데 디지털 기기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뇌 기능이 악화될 수 있다. 비교적 젊은 나이인데도 깜박하는 일이 잦다면 디지털 기기 과사용으로 인한 '디지털치매'를 의심해 봐야 한다.
디지털치매로 인한 기억력 감퇴…진짜 치매로 이어질 수 있어
치매는 정상적으로 일상생활을 하던 사람이 여러 원인으로 뇌 손상을 입어 후천적으로 기억력 장애가 시작된 이후 판단력과 언어 능력 저하 등 인지 기능이 떨어져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흔히 치매는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이라는 인식이 강한데, 최근 젊은 층에서도 치매 증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른바 과도한 디지털 기기 사용으로 발생하는 '디지털치매'이다. ‘디지털치매’는 진짜 치매는 아니지만 디지털 기기 과의존으로 우리 뇌가 스스로 정보를 기억하는 힘의 줄어 잦은 건망증이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현상을 두고 젊음(Young)과 알츠하이머(Alzheimer)를 합친 '영츠하이머'라는 신조어까지 생겼다.
우리 뇌는 기본적으로 사용하면 사용할수록 발달하며, 사용하지 않으면 퇴화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디지털 기기가 발전하면서 스마트폰 터치 몇 번으로 기억을 저장하고 생각하는 뇌의 능력을 대신하면서, 기억 용량이 감소되고 퇴화됐다. 기억을 담당하는 뇌의 해마는 여러 자극에 대해 짧은 시간 한시적으로 단기 기억에서 반복 경험을 통해 장기 기억으로 전환된다. 그러나 저장되기 전 새로운 정보나 더 흥미로운 정보가 입력되면 기존 정보가 우선순위에서 밀려나 방금 전 내용도 기억하지 못하는 건망증을 겪게 된다. 저장한 정보를 빨리 잊어나, 전화번호를 3개 이상 암기하기 어렵거나, 간단한 계산도 잘 하는 못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디지털치매는 사회적 현상이지만, 이런 증상을 개선하지 않으면 뇌의 특정 부위가 발달하지 않아 뇌 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디지털 기기 과사용은 디지털 환경에서 태어나고 자라 디지털 언어와 장비를 자유롭게 다룰 줄 아는 유아와 아동들의 뇌 발달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인간의 뇌는 유아기와 아동기에 가장 많이 변화하면서 발달한다. 그런데 유년기와 아동기에 디지털 매체를 과도하게 접하면 디지털치매증후군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디지털치매증후군은 기억력 저하뿐 아니라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휴대전화가 꺼지는 순간 생활이 불편해질 것이라는 생각에 휴대전화가 꺼지기도 전에 불안감을 느끼고 더 나아가 심리적 공황상태에 빠지기도 한다.
디지털치매증후군 대표 증상 체크리스트ㅣ출처: 하이닥
디지털치매에 도움 되는 생활 습관
디지털치매증후군은 의학적으로 정의된 정식 질환은 아니다. 그래서 명확한 치료법이나 약이 존재하지 않는다. 일상에서 이를 야기하는 습관을 멀리하고, 건강한 생활습관을 만들어 디지털치매를 예방해야 한다.
먼저, 디지털치매 예방을 위해서는 디지털 기기의 의존도를 낮추는 게 가장 중요하다. 필요할 때만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며, 업무를 하거나 노래를 듣거나 TV를 켜둔 채 전화를 하거나 게임을 하면서 스마트폰으로 하는 등 여러 가지 일을 한 번에 하는 멀티태스팅은 자제하는 게 좋다. 멀티태스팅은 뇌를 과하게 사용하는 행동으로 뇌를 쉽게 지치게 만든다.
쉬는 날이나 여가 시간에는 스마트폰이나 TV만 보기보다는 야외에 나가 자연 속에서 심리적 안정감을 얻으며 가벼운 달리기나 걷기 등을 통해 뇌 신경 세포를 성장시키는 것도 방법이다. 친구 또는 가족과 함께 걸으며 대화를 나누면 뇌의 언어 및 운동 영역을 자극해 뇌 기능이 향상된다. 잘 자는 것도 중요하다. 잠들기 2시간 전에는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해야 뇌 건강에 좋다. 깨어 있는 동안 받아들인 지식과 경험을 수면을 통해 장기 기억으로 저장하는데, 스마트폰의 불빛이나 전자파로 인해 숙면을 방해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디지털치매는 정보가 필요할 때 두뇌에 저장된 정보를 찾아내려는 노력 없이 곧바로 전자기기를 이용함으로써 뇌에서 기억을 저장하는 메커니즘이 약해지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일상생활에서 뇌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가능하면 휴대전화 기기에 있는 메모나 계산기 기능을 이용하기보다는 손으로 직접 정보를 메모하고 계산하는 것이 좋다. 디지털 기기의 사용 시간을 줄이고, 독서나 신문 등을 읽는 것도 방법이다. 초행길이 아닌 경우에는 내비게이션을 사용하기보다는 기억을 이용해서 운전하고, TV 시청 시에도 수동적으로 시청할 것이 아니라 어떤 식으로 전개가 될지 머릿속으로 상상하는 등 일상생활에서 적극적으로 뇌를 사용해야 한다.
서애리 하이닥 건강의학기자 hidoceditor@mcircle.biz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성 갱년기에 좋은 음식과 나쁜음식 (0) | 2023.08.29 |
---|---|
소화 불량에 잦은 방귀 '이 질병' 의심? (0) | 2023.08.28 |
오래 사는 비결 (0) | 2023.08.25 |
이런 증상 있다면 새로운 코로나 후유증 의심 10분 서 있으면 다리가 파랗게 변해요. (0) | 2023.08.24 |
"고령인" 의 건강관리 (2) | 2023.08.23 |